개발

네트워크 용어 정리

fullest.sway 2023. 11. 24. 19:10
  • 사설 IP (Private IP):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회사 내부에서 사용되는 IP 주소
    • 인터넷과 연결되어 있지 않으며, 내부에서만 통신이 가능 (사설 네트워크)
    • 로컬 IP, 가상 IP라고도 불림
    • 사설 IP로 발급 가능한 주소 대역은 표준화 되어 있음.
      • 대규모 네트워크: 10.0.0.0 ~ 10.255.255.255: 10.0.0.0/8
      • 중간 규모의 네트워크: 172.16.0.0 ~ 172.31.255.255: 172.16.0.0/12
      • 소규모 네트워크: 192.168.0.0 ~ 192.168.255.255: 192.168.0.0/16
    • 이러한 사설 IP 주소 대역은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공인 IP 주소와 구분되어, 사설 네트워크 내에서만 유효
  • 공인 IP 주소(Public IP Address) : 인터넷에 연결된 장치들이 사용하는 고유한 식별자
    •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(ISP)로 부터 할당됨(전세계에서 고유함)
    • 인터넷 상에 공개되어 다른 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도록 함
  • 사설 네트워크 내에서는 "라우터"를 통해 공인 IP를 가진 장치들과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음
    • 보안과 네트워크 관리를 용이하게 위해 사용

  •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(ISP: Internet Service Provider) : 인터넷에 접근할 수 있도록 인터넷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나 기관
    • 고객에게 인터넷 접속을 위한 인터넷 회선 제공
    • 인터넷 트래픽을 라우팅하여 인터넷에 연결된 다른 장치들과 통신할수 있도록 함
    • 국내에선 KT, SK 텔레콤, LG 유플러스 등의 회사를 지칭
  • 동적 호스트 구성 프로토콜(DHCP: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) :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들에게 IP 주소 및 기타 네트워크 설정을 자동으로 할당하는 프로토콜
    • DHCP는 클라이언트-서버 모델을 기반으로 동작하며, 네트워크 관리자가 DHCP 서버를 구성하여 클라이언트 장치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될 때 필요한 IP 주소, 서브넷 마스크, 기본 게이트 웨이 등의 정보를 자동으로 받도록 설정
    • DHCP를 통해 장치들은 자동으로 IP 설정을 받아 네트워크에 쉽게 연결할 수 있음
    • 집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공유기에도 DHCP 설정이 되어 있어 있으며, 사설 네트워크에서 내부 IP 주소를 분리해주는 역할도 수행
  • 즉, ISP공인 IP 주소를 발급하고, DHCP사설 IP 주소를 내부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들에게 발급
    • 서브넷 마스크에 의해서 생성된 서브넷에 배정된 사설 IP도 DHCP 프로토콜에 의해서 발행

  • NAT(Network Address Translation): 네트워크에서 IP 주소를 변환하는 기술
    • 일반적으로, 사설 네트워크에 있는 장치들은 사설 IP 주소를 사용하고, 인터넷과 통신하기 위해 공인 IP 주소를 할당받은 라우터를 거쳐야 한다. 이때, NAT는 라우터에서 사설 IP 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변환하여 인터넷과의 통신을 가능하게 함
    • 사설 IP 주소를 사용하면 외부에서 내부 네트워크에 직접 접근하기 어렵기 때문에, 네트워크의 보안성을 높일 수 있음

  • 서브넷 마스크 (Subnet Mask): IP 주소를 네트워크 부분과 호스트 부분으로 구분하는데 사용되는 값
    • 서브넷 마스크를 사용하여 IP 주소를 서브넷으로 분할하면, 네트워크 간의 효율적인 통신과 IP 주소의 할당을 관리
  • 서브넷 (Subnet): 네트워크를 작은 단위로 분할하는 것을 의미.
    • IP 네트워크를 서브넷으로 나누면, 각 서브넷은 독립적인 작은 네트워크로 구성
    • 네트워크 관리자는 서브넷 간의 트래픽을 분산시킬 수 있고, 보안을 강화하고, IP 주소를 효율적으로 할당할 수 있음
    • 서브넷은 서브넷 마스크(Subnet Mask)를 사용하여 구분

  • NTP (Network Time Protocol) : 네트워크를 통해 정확한 시간 정보를 동기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
    •  NTP는 인터넷을 통해 전 세계의 다양한 시간 서버로부터 시간 정보를 받아와 네트워크 내의 모든 디바이스들이 동일한 시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
    • NTP는 클라이언트-서버 모델을 기반으로 동작
    • 예를 들어, CentOS 를 설치해서 사용하는 경우 NTP 클라이언트가 설치되며, NTP 서버는 전 세계에 분산되어 있음.
  • RTC (Real-Time Clock) : 실시간 시계라고도 불리는 하드웨어 장치
    • 주로 컴퓨터 시스템이 꺼져 있거나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도 정확한 시간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
    • 시스템이 부팅될 때 시간 정보를 초기화하는 데 사용되며, 시스템이 다시 켜질 때까지 정확한 시간을 유지
    • 시스템이 꺼져 있을 때에도 정확한 시간 정보를 유지하며, 다양한 시간 관리 작업에 사용